엑셀 COUNTIF 함수 정의
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
사용방법
COUNTIF(range, criteria)
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
COUNTIF 실습 예제 파일
엑셀 COUNTIF 함수는 - IF가 참인 CELL의 COUNT- 라고 보시면 됩니다. 즉 지정한 영역(range)의 CELL중에서 지정한 조건(IF)에 부합되는(True가 되는) CELL의 개수(COUNT)를 반환해주는 함수인 것이죠. 예제를 풀어보며 추가 설명드리겠습니다.
예제1. 표를 보고 출판사별 출판 도서의 수를 각각 구하여라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출판사, 제목, 가격으로 구분된 표가 하나 있습니다. 각가의 정보가 기입되어 있는 표를 보고 예제를 풀 수 있습니다. 단! 엑셀 COUNTIF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.
7권 밖에 되지 않으니, 정답은 COUNTIF를 사용하지 않아도 바로 구할 수 가 있습니다.
-
A = 3
-
B = 1
-
C = 2
-
D = 1
하지만 예제처럼 7권이 아니라 데이터가 7,000, 70,000권이 되면 사람이 하나하나 카운팅하기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. 다행히 엑셀에서는 COUNTIF가 있기때문에 함수사용법만 알아두면 1분안에 해결이 가능합니다.
COUNTIF에는 위에서 말씀드린것 과 같이 2가지의 인자값이 들어값니다.
-
셀 범위(range)
-
조건(혹은 기준)(criteria)
예제 1을 기준으로 셀의 범위라 하면, 출판사의 영역이 될 것 입니다.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C3:C9까지가 우리가 COUNTIF에 range로 주어야할 영역입니다. 추가로 해당 영역을 고정으로 설정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함수를 복사하여 썼을 경우, 이동된 셀만큼 값이 가감되기 때문입니다. 고정작업까지 마친 영역의 범위는 $C$3:$C$9입니다.
두 번째 인자 '조건'을 설정해야 합니다. 직접 타이핑 해도 되지만, 예제1의 결과를 출력하는 표에 매칭되는 결과를 리턴해주면 되기때문에 해당 영역을 조건으로 잡도록 하겠습니다.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criteria는 고정을 넣지 않아야 합니다. 이것을 엑셀 함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-
=COUNTIF($C$3:$C$9,H11)
-
=COUNTIF($C$3:$C$9,H12)
-
=COUNTIF($C$3:$C$9,H13)
-
=COUNTIF($C$3:$C$9,H14)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결과를 확인해봅니다.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값이 잘들어가진것을 확인하였습니다.
예제2. 7개의 도서중 가격이 15000원 이상인 도서의 수를 구하세요. 단 COUNTIF를 사용하세요.
예제 1과 같은 표를 보기 때문에 바로 range를 구할 영역을 설정하겠습니다. 이번 예제에서는 가격이 핵심 키워드 입니다. 우선 각 도서의 가격을 첫번째 인자인 셀 영역으로 설정합니다.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예제2에서 부여해야 하는 조건은 15000원이상 이라는 값입니다. 이것을 COUNTIF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.
">=15000" → 이 부분이 예제2에 두번째 인자로 들어가야 하는 값 입니다.
영역과 조건을 합친 전체 엑셀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=COUNTIF(E3:E9,">=15000")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15,000원 이상인 도서는 총 4권입니다. 엑셀 함수식도 동일한 결과가 나왔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.
![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 [엑셀 함수 정리]COUNTIF 함수 -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 구하기- - 지정한 범위 내에서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. - Range는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.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예상대로 4권이 출력되었습니다.
이상 엑셀 COUNTIF함수에 대한 예제와 설명이었습니다.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[관련글]
엑셀 함수 정리
'IT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크롬 시크릿모드 시작 방법 2가지 [단축키로 크롬 시크릿모드 켜기] (0) | 2022.03.02 |
---|---|
엑셀 오늘 날짜 자동 입력(Feat. 시간입력 꿀팁) (0) | 2021.05.02 |
[컴퓨터 관리]hiberfil.sys 파일삭제 해도 되나요?(정체와 삭제방법) (0) | 2020.06.09 |
VSCODE(Visual Studio Code) cmd 실행 방법 정리 (0) | 2020.04.26 |
SQL UPDATE - 데이터 수정 명령어 사용법 - (0) | 2020.04.24 |
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정수값들을 읽어서 그들의 총합과 평균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소스코드 & 설명 (2) | 2020.04.23 |
[Python]파이썬 제곱 , n제곱(n승) 구하기 - 사용자에게 입력받아 제곱 출력하는 소스 코드와 설명 - (0) | 2020.04.22 |
C언어 사용자가 입력한 정수의 모든 약수 출력 (0) | 2020.04.22 |
댓글